반응형
코로나 이후 자주 등장하는 단어(인플레이션, 디플레이션, 스태그플레이션)에 대해서 짧은지식으로 간략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뉴스에 자주 나오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이해가 되지 않으시는 분들은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
1. 인플레이션(또는 지속적인 물가상승)
- 사전적 정의 : 한 국가의 재화와 용역 가격 등의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상태.
- 간단설명 : 물건 가격 상승
- 예시 : 월급 -> 200만원 -> 205만원(미세한 상승), 에어팟 : 20만원 -> 30만원(급상승)
- 문제점 : 저축비율 하락->은행 돈 부족, 생필품 비축->사재기
2. 디플레이션(또는 지속적인 물가하락)
- 사전적 정의 : 한 국가의 재화와 용역 가격 등의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제상태.
- 간단설명 : 물건 가격 하락
- 예시 : 월급 -> 200만원 -> 200만원(동결), 에어팟 : 20만원 -> 15만원(급하락)
- 문제점 : 소비(또는 투자) 감소 -> 오늘은 15만원 내일은 14만원.. 이면 소비를 망설이게 됨
3. 스태그플레이션("스태그네이션" + "인플레이션"의 합성어)
- 사전적 정의 : 높은 물가상승과 실직,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. 심해지면 "슬럼프플레이션" 이라고 한다
- 간단설명 : 물건 가격 상승 + 경기 침체
- 예시 : 월급 -> 200만원 -> 190만원(하락), 에어팟 : 20만원 -> 30만원(급상승)
- 문제점 : 총체적 난국
반응형